
로그 차트 vs 산술 차트, 무엇이 다를까?
트레이딩뷰에서는 가격 변동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로그 차트(Logarithmic Chart)**와 산술 차트(Arithmetic Chart, Linear Chart) 두 가지를 제공합니다.
두 차트는 같은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가격 축(Y축)을 다르게 표시하여 차트 해석에 큰 영향을 줍니다.

위 차트는 2020년 1월부터 현재까지 비트코인(BTCUSD) 차트인데요, 동일한 대상이고 고점과 저점의 흐름은 유사하지만
산술차트와 로그차트의 세부 등락폭, 즉 y축의 흐름이 다른 것을 아실 수있습니다.
산술 차트(Linear Chart)의 특징
- 가격이 동일한 간격(고정값)으로 증가
- 가격 변화가 절대적인 값(예: 10달러 증가) 기준으로 표시됨
- 작은 가격 변동도 동일한 비율로 보이므로 장기 차트에서는 왜곡될 수 있음
예제:
- 10달러 → 20달러(10달러 증가)와 100달러 → 110달러(10달러 증가)는 동일한 간격으로 표시됨
- 저가 주식(소형주) 분석에는 유리하지만, 고가 주식(대형주)에서는 왜곡 가능성 존재
로그 차트(Log Chart)의 특징
- 가격이 비율(%) 기준으로 증가
- 동일한 비율 변동이 같은 거리로 표시됨
- 가격이 커질수록 변동성이 줄어드는 효과 → 장기 분석에 유리
예제:
- 10달러 → 20달러(100% 증가)와 100달러 → 200달러(100% 증가)는 동일한 간격으로 표시됨
- 비트코인(BTC)처럼 가격 변동이 큰 자산을 분석할 때 유용
정리:
구분 | 산술 차트(Linear) | 로그 차트(Log) |
---|---|---|
가격 변화 | 절대값 기준 | 퍼센트(%) 기준 |
작은 가격 변동 | 확대되어 보임 | 균형 잡힌 시각 제공 |
장기 분석 | 왜곡 가능성 있음 | 추세 분석에 유리 |
사용 추천 | 단기 트레이딩 | 장기 투자 |
트레이딩뷰에서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 설정하는 방법
트레이딩뷰에서는 간단한 설정 변경만으로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 간 전환이 가능합니다.
1. 트레이딩뷰 접속 및 차트 열기
- 트레이딩뷰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
- 검색창에서 분석할 종목의 티커(symbol) 입력 (예: BTCUSD, TSLA, QQQ)
- “전체 차트 보기” 버튼 클릭

2. 로그 차트 또는 산술 차트 선택하기
- 차트 오른쪽 하단의 Y축(가격축)을 클릭
- 팝업 메뉴에서 “로그 스케일(Log Scale)” 체크 → 로그 차트 적용
- 다시 클릭하여 “로그 스케일(Log Scale)” 해제 → 산술 차트로 전환
단축키 사용 방법:
- Windows: “Alt + L”
- Mac: “Option + L”
Tip:
- 주식이나 코인의 장기 차트(1년 이상)에서는 로그 차트 추천
- 단기 트레이딩(1주일 이내)에서는 산술 차트가 더 유용
로그 차트 vs 산술 차트를 활용한 매매 전략
1. 장기 트렌드 분석 시 로그 차트 활용
- 장기간 상승·하락 추세를 분석할 때 로그 차트 사용
- 주가 변동이 클수록 로그 차트가 더 정확한 흐름을 보여줌
예제:
- 비트코인(BTC/USD)의 2015년~2025년 장기 차트 분석 → 로그 차트 사용
- 애플(AAPL)의 10년간 주가 흐름을 분석할 때 → 로그 차트 활용
2. 단기 트레이딩 시 산술 차트 활용
- 단기 매매(1시간, 1일)에서는 산술 차트가 더 직관적
- 스캘핑, 데이트레이딩에서는 가격 변화가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 중요
예제:
- 테슬라(TSLA) 단기 매매 시 1시간 봉 산술 차트 활용
- 나스닥 ETF(QQQ) 일봉 단기 분석 → 산술 차트가 더 적합
3. 추세선과 패턴 분석 시 로그 차트 활용
상승 추세선과 하락 추세선을 그릴 때 로그 차트 사용 추천
특히 고점과 저점이 큰 폭으로 변하는 경우 로그 차트가 더 정확
예제:
- S&P 500 지수(SPX) 장기 상승 채널 분석 → 로그 차트 활용
- 비트코인(BTC)이 저점 대비 10배 상승한 경우 → 로그 차트로 분석
로그 차트 & 산술 차트 활용 꿀팁
1.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를 번갈아 가며 비교 분석
- 장기 흐름 분석 → 로그 차트
- 단기 가격 패턴 분석 → 산술 차트
2. 보조지표(RSI, MACD)와 함께 사용하여 정확도 향상
- 로그 차트에서 RSI 과매도 구간 찾기
- 산술 차트에서 MACD 골든크로스 확인
3. 트레이딩뷰에서 알림 설정 활용
- 특정 가격 도달 시 자동 알림 설정 → 로그/산술 차트 비교 후 매매 결정
Tip:
- 고점과 저점이 큰 폭으로 차이 나는 경우 로그 차트가 더욱 신뢰도 높은 분석을 제공
결론: 로그 차트 vs 산술 차트, 언제 어떻게 활용할까?

트레이딩뷰에서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는 각각의 장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나스닥 차트의 장기 추세를 파악한다면 로그차트가 훨씬더 안정적인 채널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 눈으로 확인 되시나요?
✔ 초보자라면?
→ 단기 트레이딩 시 산술 차트, 장기 투자 시 로그 차트를 활용하세요.
✔ 트레이딩뷰에서 설정하려면?
→ 가격축(Y축)을 클릭하여 “로그 스케일”을 켜거나 끄세요.
✔ 더 정교한 분석을 원한다면?
→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를 비교하며 패턴 분석을 강화하세요.
트레이딩뷰에서 로그 차트와 산술 차트를 활용해 더 정교한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
운운이었습니다.
투자 관련 고지사항 (Disclaimer)
본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일반적인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어떠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손익의 책임은 모두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시장 상황은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투자 전 반드시 스스로 충분한 검토와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본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는 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특정 기업 또는 기관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